이러한 경우 전력용 콘덴서를 적용하여 역률을 개선함으로써 전력회사가 요구하는 역률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배전 계통에서 콘덴서를 설치하는 것은 여러가지 목적이 있으나 그 중에서 가장 주된 목적은?
배전 선로의 역률 개선에 따른 효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부하의 역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은?
피상 전력 P[kVA], 역률 cos θ 인 부하를 역률 100[%]로 개선하기 위한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몇 [kVA]인가?
부하가 P[kW]이고, 그의 역률이 cos θ₁인 것을 cos θ₂ 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력용 콘덴서가 몇 [kVA] 필요한가?
3상 배전 선로의 말단에 지상역률 80[%] 160[kW]인 평형 3상 부하가 있다. 부하점에 부하와 병렬로 전력용 콘덴서를 접속하여 선로 손실을 최소로 하려면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몇 [kVA]가 필요한가? 단, 여기서 부하단 전압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어느 수용가가 당초 역률(지상) 80[%]로 60[kW]의 부하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새로이 역률(지상) 60[%]로 40[kW]의 부하를 증가해서 사용하게 되었다. 이때 콘덴서로 합성 역률을 90[%]로 개선하려고 할 경우 콘덴서의 소요 용량[kVA]은 대략 얼마인가?
어떤 공장의 소모 전력이 100[kW]이며, 이 부하의 역률이 0.6일 때, 역률을 0.9로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몇 [kVA]인가?
3상의 같은 전원에 접속하는 경우, Δ 결선의 콘덴서를 Y 결선으로 바꾸어 이으면 진상 용량은 몇 배가 되는가?
역률(늦음) 80[%], 10[kVA]의 부하를 가지는 주상 변압기의 2차측에 2[kVA]의 전력용 콘덴서를 접속하면 주상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는 약 몇 [kVA]가 되겠는가?
부하 역률 cos θ 인 배전 선로의 저항 손실과 같은 크기의 부하 전력에서 역률 1일때의 저항 손실과의 비는?
부하 역률이 0.8인 선로의 저항 손실은 부하 역률이 0.9인 선로의 저항 손실에 비하여 약 몇 배인가?
부하 역률 0.8을 0.95로 개선하면 선로 손실은 약 몇[%]정도 경감되는가? 단, 수전단 전압의 변화는 없다고 한다.
전력용 콘덴서를 변전소에 설치할 때 직렬 리액터를 설치하려고 한다. 직렬 리액터의 용량을 결정하는 식은? 단, f₀ 는 전원의 기본 주파수, C 는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용량, L은 직렬 리액터의 용량이다.
송전계통에서 콘덴서와 리액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제거시키는 고조파는?
주변압기 등에서 발생하는 제5고조파를 줄이는 방법은?
전력용 콘덴서 회로에 방전 코일을 설치하는 주목적은?
불평형 부하에서 역률은?
1대의 주상 변압기에 역률(늦음) cos θ₁, 유효 전력 P₁[kW]의 부하와 역률(늦음) cos θ₂, 유효 전력 P₂[kW]의 부하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을 경우 주상 변압기에 걸리는 피상 전력은 몇 [kVA]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