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대칭 좌표법의 정의

강의노트 • 조회수 1846 • 댓글 0 • 수정 2년 전  
  • 대칭좌표법
  • 고장 계산
  • 대칭 좌표법
  • 비대칭 사고

aa 는 무엇인가?

aa\,는 다음과 같이 크기가 11\,이고 위상각이 120120^{\circ}인 복소수입니다.

a=1120=12+j32 a = 1 \phase { 120^{\circ}} = -\dfrac{1}{2}+ j\sqrt{\dfrac{3}{2}}

아래 그림은 aa\,를 연속적으로 곱하여 나타나는 복소수를 복소 평면에 도시한 것입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aa \,를 다른 임의의 복소수에 곱하게 되면 회전 연산자처럼 동작하여 곱해지는 복소수의 크기는 변하지 않고 반시계방향으로 120 120^{\circ} 회전하게 됩니다.

a=12+j32=ej23πa2=12j32=ej23πa3=1 \boxed{ \begin{align*} a \, \, &= -\frac{1}{2} + j \frac{\sqrt 3}{2} = e^{j\frac{2}{3}\pi} \\[1.25ex] a^2 &= -\frac{1}{2} - j \frac{\sqrt 3}{2} = e^{-j\frac{2}{3}\pi} \\[2.5ex] a^3 &= 1 \end{align*} }

aa\,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복소수입니다.

a2+a+1=0a^2 + a + 1 = 0

정상분

정상분은 서로 크기가 같으며 120120 ^\circ 씩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대칭을 이룹니다. 따라서 각 상의 페이서들은 평형 상태에 있습니다. 상 순서는 abca \Rightarrow b \Rightarrow c 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bb \,상과 cc \,상의 페이서 Ib1 \mathbf I_{b}^{1} , Ic1 \mathbf I_{c}^{1}aa \,상의 값으로부터 회전 변환을 일으키는 복소수인 aa \,를 곱함으로써 구할 수 있습니다.

Ib1=a2Ia1Ic1=aIa1(1) \tag{1} \begin{align*} \mathbf I_{b}^{1} &= a^2 \mathbf I_{a}^{1} \\[1ex] \mathbf I_{c}^{1} &= a \mathbf I_{a}^{1} \end{align*}

역상분

역상분도 서로 크기가 같으며 120120 ^\circ 씩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대칭을 이룹니다. 따라서 각 상의 페이서들은 평형 상태에 있습니다. 그러나 역상분의 상 순서는 acba \Rightarrow c \Rightarrow b 입니다.

역상분도 정상분과 동일하게 bb \,상과 cc \,상의 페이서 Ib1 \mathbf I_{b}^{1} , Ic1 \mathbf I_{c}^{1}aa \,상의 값으로부터 회전 변환을 일으키는 복소수인 aa \,를 곱함으로써 구할 수 있습니다.

Ib2=aIa2Ic2=a2Ia2(2) \tag{2} \begin{align*} \mathbf I_{b}^{2} &= a \mathbf I_{a}^{2} \\[1ex] \mathbf I_{c}^{2} &= a^2 \mathbf I_{a}^{2} \end{align*}

영상분

영상분은 서로 크기과 동일하고 위상까지도 동일하므로 서로 완전히 겹쳐집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편의상 서로 띄어서 보였습니다.

각 상의 값은 완전히 동일하며 상 기호를 제외하고 I0\mathbf I_0 로 표시합니다.

Ia0=Ib0=Ic0=I0(3) \tag{3} \mathbf I_{a}^{0}= \mathbf I_{b}^{0}= \mathbf I_{c}^{0} = \mathbf I_0

대칭좌표법의 정의

앞에서 보았듯이 임의의 페이서 3개를 아홉 개의 대칭 요소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대칭 좌표법의 기본 가정입니다.

Ia=Ia0+Ia1+Ia2Ib=Ib0+Ib1+Ib2Ic=Ic0+Ic1+Ic2(4) \tag{4} \begin{align*} \mathbf I_{a}&= \mathbf I_{a}^{0}+ \mathbf I_{a}^{1}+ \mathbf I_{a}^{2}\\ \mathbf I_{b}&= \mathbf I_{b}^{0}+ \mathbf I_{b}^{1}+ \mathbf I_{b}^{2}\\ \mathbf I_{c}&= \mathbf I_{c}^{0}+ \mathbf I_{c}^{1}+ \mathbf I_{c}^{2}\\ \end{align*}

식에서 위첨자 0 \color{red} 0 \,는 영상분 요소 (Zero Sequence Set), 위첨자 1 \color{red} 1 \,은 정상분 요소(Positive Sequence Set), 그리고 위첨자 2 \color{red} 2 \,는 역상분 요소(Negative Sequence Set)를 의미합니다.

Ia=Ia0+Ia1+Ia2Ib=Ia0+a2Ia1+aIa2Ic=Ia0+aIa1+a2Ia2(5) \tag{5} \begin{align*} \mathbf I_a &= \mathbf I_a^0+ \mathbf I_a^1 + \mathbf I_a^2 \\ \mathbf I_b &= \mathbf I_a^0+ a^2 \mathbf I_a^1 + a \mathbf I_a^2 \\ \mathbf I_c &= \mathbf I_a^0+ a \mathbf I_a^1 + a^2 \mathbf I_a^2 \\ \end{align*}

(5)(5)의 모든 기호에 aa \,상 기호가 포함되므로 상 기호를 생략하고 위첨자를 아래 첨자로 변경하면 식(5)(5)는 다음과 같이 됩니다.

Ia=I0+I1+I2Ib=I0+a2I1+aI2Ic=I0+aI1+a2I2(6) \tag{6} \begin{align*} \mathbf I_a &= \mathbf I_0+ \mathbf I_1 + \mathbf I_2 \\ \mathbf I_b &= \mathbf I_0+ a^2 \mathbf I_1 + a \mathbf I_2 \\ \mathbf I_c &= \mathbf I_0+ a \mathbf I_1 + a^2 \mathbf I_2 \\ \end{align*}

(6)(6)을 행렬 벡터 형태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aIbIc]=[1111a2a1aa2][I0I1I2](7) \tag{7} \left[\begin{matrix}\mathbf I_{a} \\ \mathbf I_{b}\\ \mathbf I_{c}\end{matrix}\right] = \left[\begin{matrix} 1 & 1 & 1 \\ 1 & a^{2} & a \\ 1 & a & a^{2} \end{matrix}\right] \left[\begin{matrix}\mathbf I_{0} \\ \mathbf I_{1} \\ \mathbf I_{2} \end{matrix}\right]

(7)(7)을 역행렬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I0I1I2]=13[1111aa21a2a][IaIbIc](8) \tag{8} \left[\begin{matrix}\mathbf I_{0} \\ \mathbf I_{1} \\ \mathbf I_{2} \end{matrix}\right] = \frac{1}{3} \left[\begin{matrix} 1 & 1 & 1 \\ 1 & a & a^{2} \\ 1 & a^{2} & a \end{matrix}\right] \left[\begin{matrix}\mathbf I_{a} \\ \mathbf I_{b}\\ \mathbf I_{c}\end{matrix}\right]

(8)(8)로부터 상전류로부터 대칭분 전류를 알려면 다음 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I0=13(Ia+Ib+Ic)I1=13(Ia+aIb+a2Ic)I2=13(Ia+a2Ib+aIc)(9)\tag{9} \begin{align*} \mathbf I_{0} &= \frac{1}{3}\left( \mathbf I_{a} + \mathbf I_{b} + \mathbf I_{c} \right) \\ \mathbf I_{1} &= \frac{1}{3}\left( \mathbf I_{a}+ a \mathbf I_{b} + a^2 \mathbf I_{c} \right) \\ \mathbf I_{2} &= \frac{1}{3}\left( \mathbf I_{a} + a^2 \mathbf I_{b} + a \mathbf I_{c} \right) \\ \end{align*}

이전 글
다음 글
댓글
댓글로 소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