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접지 방식의 개요
아래 그림과 같이 Δ 결선의 경우 중성점이 없어서 접지를 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비접지 방식이라고 합니다. 비접지 방식의 선로에서 지락 사고가 발생할 경우 선로의 병렬 정전 용량에 의한 사고 전류가 사고 지점으로 흐르게 됩니다.
비접지 방식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선로의 길이가 짧거나 전압이 낮은 3.3kV, 6.6kV 계통에 적용
- 변압기의 결선이 Δ−Δ 인 경우 적용
- 1선 지락 사고시 지락 전류가 적어서 그대로 송전 가능
- 1선 지락 사고시 충전 전류에 의한 간헐적 아크 지락을 일으켜서 이상 전압 발생 가능
비접지 방식의 지락 전류
아래 그림과 같은 비접지 방식의 선로에서 a상에서 지락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할 때 사고 지점에 흐르는 지락 전류 Ig를 구하여 봅니다.
위 그림과 같이 사고 전류 Ig는 Ig1과 Ig2 성분으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Ig=Ig1+Ig2(1)
식(1)에서 각 전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 집니다.
Ig1Ig2=jωCSEab=−jωCSEca(2)
식(2)를 식(1)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g=Ig1+Ig2=jωCSEab−jωCSEca=jωCS(Eab−Eca)(3)
이때 선간 전압 Eab 와 Eca는 다음과 같이 상전압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EabEca=Ea−Eb=Ec−Ea(4)
식(4)의 관계를 식(3)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Eab−Eca=2Ea−Eb−Ec(5)
다음과 같은 표현되는 복소수 a는 회전 연산자라고 하며 곱해지는 페이서를 반시계 방향으로 120∘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a=1120∘=ej32π(6)
각 상전압에 회전 연산자 a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aEbEc=E=a2E=aE(7)
식(5)에 식(7)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Eab−Eca=2Ea−Eb−Ec=2E−a2E−aE=(2−a2−a)E(8)
식(8)에서 회전 연산자 a의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적용합니다.
a2+a+1=0(9)
식(9)를 식(8)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구할 수 있습니다.
Eab−Eca=3E(10)
따라서 비접지 방식의 지락 전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Ig=j3ωCSE[A](11)
여기서
- CS : 1상당 대지 정전 용량 ([F])
- E : 고장 발생 전의 고장점 대지 전압 ([V])
식(11)로부터 다음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 비접지 방식의 접지 전류는 고장점 대지 전압 대비 90∘ 앞선 (진상) 전류가 흐른다.
Login to writ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