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
|
|
|
|
ωn |
고유 주파수 |
|
ω |
진동 주파수 |
a |
감쇠비 |
|
Mr |
공진최고점 |
ωr |
공진주파수 |
|
ωBW |
대역폭 |
ωBW |
차단주파수 |
|
|
|
주파수 응답과 극점의 관계
표준 2차 제어시스템의 전달함수는 다음 그림과 같다.
전달함수를 주파수(jω)로 표현하면 식(1)과 같다.
GT(jω)=(jω)2+j2aωnω+ωn2ωn2=ωn2−ω2+j2aωnωωn2(1)
식(1)을 크기(식(2))와 위상각(식(3))으로 나타낸다.
∣GT(jω)∣=(ωn2−ω2)2+(2aωnω)2ωn2(2)
∠GT(jω)=−tan−1(ωn2−ω22aωnω)(3)
정상상태 이득
정상상태 이득은 주파수가 0일때의 이득이다.
∣GT(j0)∣=(ωn2−02)2+(2aωn0)2ωn2=1
공진 최고점 ( Mr ), 공진 주파수 (ωr, resonant frequency)
보드 크기 선도에서 최고 값을 가지는 점이 공진 최고점이된다.
식(2)를 주파수에 대하여 미분한 값이 0일때 공진 최고점이 된다.
dωd∣GT(jω)∣=−21((ωn2−ω2)2+(2aωnω)2)232(ωn2−ω2)(−2ω)+(2aωn)22ω=0
(ωn2−ω2)(−ω)+2(aωn)2ω=0
ωn2−2a2ωn2=ω2(4)
식(4)를 만족하는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라 한다.
ωr=ωn1−2a2
제동비가 0.707보다 크면 모든 주파수에서 Mr은 M0보다 작다
공진 최고점은 공진주파수일때의 전달함수의 크기이다.
∣GT(jωr)∣=(ωn2−ωr2)2+(2aωnωr)2ωn2=(ωn2−(ωn1−2a2)2)2+(2aωn(ωn1−2a2))2ωn2=2a1−a21
대역폭 (ωBW)
주파수가 0일 때의 크기로부터 3dB만큼 크기 보드 선도가 줄어들었을 때의 주파수
∣GT(jω)∣dB=−3dB 일때의 주파수 ωBW 는 ∣GT(jω)∣=21 일 때이다.
∣GT(jωBW)∣=21=(ωn2−ω2)2+(2aωnω)2ωn2
21=(ωn2−ω2)2+(2aωnω)2ωn4=ωn4−2ωn2ω2+ω4+4a2ωn2ω2ωn4
ωn4−2ωn2ω2+ω4+4a2ωn2ω2=2ωn4
ωn4+2ωn2(2a2−1)ω2−ωn4=0
ω2=ωn2((1−2a2)±4a4−4a2+2)
ωBW=ωn(1−2a2)+4a4−4a2+2
대역폭은 고유주파수(ωn)에 정비례하고, 감쇠비(a)가 증가하면 감소한다.
0<a<0.707 에서 a↓⇒ωBW↑⇒Mr↑
대역폭이 넓을수록 응답속도가 빠르다.
대역폭은 근사적으로 시간영역에서 과도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시정수의 역수에 해당한다.
차단주파수 (ωBW)
크기가 3dB떨어졌을 때의 주파수
차단율(분리도)
차단주파수에서의 이득 곡선의 기울기를 차단율이라 한다.
신호와 잡음을 분리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잡음신호는 고주파에서 에너지를 가지므로 차단율이 크면 잡음을 제거하는 성능이 좋아지지만 공진최대값을 동반하여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주파수 응답 예
ωn=10, ω=1인 경우 a의 변화에 대한 시스템 응답 (0.2:0.2:1)
a=0.2, ω=1인 경우 ωn의 변화에 대한 시스템 응답 (10:10:50)
Login to writ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