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주파수 응답과 극점의 관계

강의노트 • 조회수 687 • 댓글 0 • 수정 2개월 전  
  • 관계
  • 주파수응답

변수

ωn \omega_n 고유 주파수 ω \omega 진동 주파수
a a 감쇠비 Mr M_r 공진최고점
ωr \omega_r 공진주파수 ωBW \omega_{BW} 대역폭
ωBW \omega_{BW} 차단주파수

주파수 응답과 극점의 관계

표준 2차 제어시스템의 전달함수는 다음 그림과 같다.

전달함수를 주파수(jωj \omega )로 표현하면 식(1)과 같다.

GT(jω)=ωn2(jω)2+j2aωnω+ωn2=ωn2ωn2ω2+j2aωnω(1)\tag{1} G_T (j \omega ) = \dfrac{\omega^2_{n}}{(j \omega)^2+j2 a \omega_n \omega + \omega^2_n} = \frac{\omega^2_{n}}{ \omega^2_n - \omega^2 +j2 a \omega_n \omega}

식(1)을 크기(식(2))와 위상각(식(3))으로 나타낸다.

GT(jω)=ωn2(ωn2ω2)2+(2aωnω)2(2) \tag{2} \vert G_T (j \omega ) \vert = \dfrac{\omega^2_{n}}{\sqrt{(\omega^2_n -\omega^2 )^2 +(2 a \omega_n \omega )^2}}

GT(jω)=tan1(2aωnωωn2ω2)(3) \tag{3} \angle{G_T (j \omega )} = - tan^{-1} ( \frac{2 a \omega_n \omega}{\omega^2_n - \omega^2} )

정상상태 이득

정상상태 이득은 주파수가 0일때의 이득이다.

GT(j0)=ωn2(ωn202)2+(2aωn0)2=1\vert G_T (j 0 ) \vert = \dfrac{\omega^2_{n}}{\sqrt{(\omega^2_n -0^2 )^2 +(2 a \omega_n 0)^2}}= 1

공진 최고점 ( Mr M_r ), 공진 주파수 (ωr\omega_r, resonant frequency)

보드 크기 선도에서 최고 값을 가지는 점이 공진 최고점이된다. 식(2)를 주파수에 대하여 미분한 값이 0일때 공진 최고점이 된다.

dGT(jω)dω=122(ωn2ω2)(2ω)+(2aωn)22ω((ωn2ω2)2+(2aωnω)2)32=0 \frac{d \vert G_T (j \omega ) \vert}{d \omega} = - \frac12 \frac{2(\omega^2_{n}-\omega^2 ) (-2\omega) + (2 a \omega_n )^2 2\omega}{((\omega^2_n -\omega^2 )^2 +(2 a \omega_n \omega )^2)^{\frac32}}=0

(ωn2ω2)(ω)+2(aωn)2ω=0 (\omega^2_n - \omega^2)(-\omega)+2(a \omega_n)^2\omega =0

ωn22a2ωn2=ω2(4)\tag{4} \omega^2_n - 2 a^2 \omega^2_n = \omega^2

식(4)를 만족하는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라 한다.

ωr=ωn12a2 \omega_r = \omega_n \sqrt{1-2 a^2}

제동비가 0.707보다 크면 모든 주파수에서 MrM_rM0M_0보다 작다

공진 최고점은 공진주파수일때의 전달함수의 크기이다.

GT(jωr)=ωn2(ωn2ωr2)2+(2aωnωr)2=ωn2(ωn2(ωn12a2)2)2+(2aωn(ωn12a2))2=12a1a2 \vert G_T (j \omega_r ) \vert = \frac{\omega^2_{n}}{\sqrt{(\omega^2_n -\omega^2_r )^2 +(2 a \omega_n \omega_r )^2}} \\ = \dfrac{\omega^2_{n}}{\sqrt{(\omega^2_n - (\omega_n \sqrt{1-2 a^2})^2 )^2 +(2 a \omega_n (\omega_n \sqrt{1-2 a^2}))^2}}\\ = \dfrac{1}{2a\sqrt{1-a^2}}

대역폭 (ωBW \omega_{BW})

주파수가 0일 때의 크기로부터 3dB만큼 크기 보드 선도가 줄어들었을 때의 주파수

GT(jω)dB=3dB \vert G_T (j \omega ) \vert_{dB} = -3 dB 일때의 주파수 ωBW \omega_{BW}GT(jω)=12 \vert G_T (j \omega ) \vert = \frac{1}{\sqrt{2}} 일 때이다.

GT(jωBW)=12=ωn2(ωn2ω2)2+(2aωnω)2 \vert G_T (j \omega_{BW}) \vert = \frac{1}{\sqrt2}= \frac{\omega^2_{n}}{\sqrt{(\omega^2_n -\omega^2 )^2 +(2 a \omega_n \omega )^2}}

12=ωn4(ωn2ω2)2+(2aωnω)2=ωn4ωn42ωn2ω2+ω4+4a2ωn2ω2 \begin{align*} \frac12 &= \frac{\omega^4_n}{(\omega^2_n - \omega^2)^2 +(2a \omega_n \omega)^2} \\ &= \frac{\omega^4_n}{\omega^4_n - 2\omega^2_n \omega^2 + \omega^4 + 4a^2 \omega^2_n \omega^2} \end{align*}

ωn42ωn2ω2+ω4+4a2ωn2ω2=2ωn4 {\omega^4_n - 2\omega^2_n \omega^2 + \omega^4 + 4a^2 \omega^2_n \omega^2} = 2 \omega^4_n

ωn4+2ωn2(2a21)ω2ωn4=0 {\omega^4_n + 2\omega^2_n (2a^2 -1) \omega^2 - \omega^4_n} = 0

ω2=ωn2((12a2)±4a44a2+2) \omega^2 = \omega^2_n ((1-2a^2) \pm \sqrt{4a^4 - 4a^2 +2})

ωBW=ωn(12a2)+4a44a2+2\omega_{BW} = \omega_n \sqrt{(1-2a^2) + \sqrt{4a^4 - 4a^2 +2}}

대역폭은 고유주파수(ωn\omega_n)에 정비례하고, 감쇠비(aa)가 증가하면 감소한다.

0<a<0.707 0 에서 aωBWMra \downarrow \Rightarrow \omega_{BW} \uparrow \Rightarrow M_r \uparrow

대역폭이 넓을수록 응답속도가 빠르다.

대역폭은 근사적으로 시간영역에서 과도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시정수의 역수에 해당한다.

차단주파수 (ωBW\omega_{BW})

크기가 3dB떨어졌을 때의 주파수

차단율(분리도)

차단주파수에서의 이득 곡선의 기울기를 차단율이라 한다.

신호와 잡음을 분리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잡음신호는 고주파에서 에너지를 가지므로 차단율이 크면 잡음을 제거하는 성능이 좋아지지만 공진최대값을 동반하여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주파수 응답 예

ωn=10\omega_n = 10, ω=1\omega=1인 경우 aa의 변화에 대한 시스템 응답 (0.2:0.2:1)

a=0.2a = 0.2, ω=1\omega=1인 경우 ωn\omega_n의 변화에 대한 시스템 응답 (10:10:50)

첫 글입니다.
다음 글
댓글
댓글로 소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