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Routh-Hurwitz 판별법

강의노트 • 조회수 902 • 댓글 0 • 수정 7개월 전  
  • Routh-Hurwitz 판별법
  • 안정도와 정상상태오차

라우스-후르비츠 판별법

절대 안정도를 판단한다.

라우스-후르비츠 안정도 판별법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한다.

  • 모든 계수의 부호가 같다.
  • 어떤 항의 계수도 0이 아니다.
  • 라우스 표의 제 1열에서 부호가 변하지 않는다.

라우스 표 작성방법

특성방정식이 식(1)과 같다.

ansn+an1sn1+an2sn2+an3sn3++a1s+a0=0(1)\tag{1} a_n s^n + a_{n-1}s^{n-1} + a_{n-2}s^{n-2} + a_{n-3}s^{n-3} + \cdots + a_{1}s + a_0 = 0

특성방정식의 계수들을 다음과 같이 표를 채운다.

표의 첫열의 첫번째 행은 sns^n, 두번째 행은 sn1s^{n-1}, ... , n번째 행은 s0s^0이 된다.

처음 두 행(sns^nsn1s^{n-1}행)의 두번째 열은 특성방정식의 처음 두개의 계수(ana_nan1a_{n-1})로 채운다.

다음 세번째 열은 특성방정식의 세번째와 네번째의 계수(an2a_{n-2}an3a_{n-3})로 채운다. 이와같이, 마지막 계수까지 처음 두 행에 채운다.

열 1 열 2 열 3
sns^n ana_n an2a_{n-2} an4a_{n-4} \cdots
sn1s^{n-1} an1a_{n-1} an3a_{n-3} an5a_{n-5} \cdots
sn2s^{n-2} b1b_1 b2b_2 b3b_3 \cdots
sn3s^{n-3} c1c_1 c2c_2 c3c_3 \cdots
sn4s^{n-4}
\vdots
s0s^{0}

sn2s^{n-2}행의 다음 식(2)같이 표를 작성한다.

b1=anan2an1an3an1b2=anan4an1an5an1b3=anan6an1an7an1(2)\tag{2} b_1 = -\dfrac{\begin{vmatrix} a_n & a_{n-2}\\ a_{n-1}& a_{n-3}\end{vmatrix}}{a_{n-1}} \quad b_2 = -\dfrac{\begin{vmatrix} a_n & a_{n-4}\\ a_{n-1}& a_{n-5}\end{vmatrix}}{a_{n-1}} \quad b_3 = -\dfrac{\begin{vmatrix} a_n & a_{n-6}\\ a_{n-1}& a_{n-7}\end{vmatrix}}{a_{n-1}}

c1=an1an3b1b2b1c2=an1an5b1b3b1c3=an1an7b1b4an1c_1 = -\dfrac{\begin{vmatrix} a_{n-1} & a_{n-3}\\ b_{1}& b_{2}\end{vmatrix}}{b_{1}} \quad c_2 = -\dfrac{\begin{vmatrix} a_{n-1} & a_{n-5}\\ b_{1}& b_{3}\end{vmatrix}}{b_{1}} \quad c_3 = -\dfrac{\begin{vmatrix} a_{n-1} & a_{n-7}\\ b_{1}& b_{4}\end{vmatrix}}{a_{n-1}}

특이한 경우

첫 번째 원소가 0인 경우

s4+s3+2s2+2s+5=0s^4 + s^3 + 2s^2 + 2s + 5 = 0

s4s^4 1 2 5
s3s^3 1 2 0
s2s^2 b1b_1 b2b_2 0
s1s^1 c1c_1 c2c_2 0
s0s^0 d1d_1

b1=12121=0b2=15101=5b_1 = -\dfrac{\begin{vmatrix} 1 & 2\\ 1 & 2 \end{vmatrix}}{1} = 0 \quad b_2 = -\dfrac{\begin{vmatrix} 1 & 5\\ 1& 0 \end{vmatrix}}{1} = 5

c1=12050c_1 = -\dfrac{\begin{vmatrix} 1 & 2\\ 0 & 5 \end{vmatrix}}{0} 분모가 0이므로 계산이 불가 b1b_1ϵ>0\epsilon>0으로 대치한다.

c1=12ϵ5ϵ=25ϵ=c2=10ϵ0ϵ=0c_1 = -\dfrac{\begin{vmatrix} 1 & 2\\ \epsilon & 5 \end{vmatrix}}{\epsilon } = 2- \dfrac{5}{\epsilon} = -\infty \quad c_2 = -\dfrac{\begin{vmatrix} 1 & 0\\ \epsilon & 0 \end{vmatrix}}{\epsilon } = 0

d1=ϵ5c10c1=5d_1 = -\dfrac{\begin{vmatrix} \epsilon & 5\\ c_1 & 0 \end{vmatrix}}{c_1} = 5

s4s^4 1 2 5
s3s^3 1 2 0
s2s^2 ϵ\epsilon 5 0
s1s^1 -\infty 0 0
s0s^0 5
  • 첫 번째 열의 부호가 두번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s-평면 우반부에 두 개의 근이 존재한다.

  • 위 식의 근의 위치는 [-1.075+1.074j, -1.075-1.074j, 0.575+1.354j, 0.575-1.354j]이므로 우반부에 두 개의 근이 있다.

어떤 행 전체가 0이 되는 경우

s5+2s4+5s3+10s2+8s+16=0s^5 + 2s^4 + 5s^3 + 10s^2 + 8s + 16 = 0

열 1 열 2 열 3
s5s^5 1 5 8 0
s4s^4 2 10 16 0
s3s^3 b1b_1 b2b_2 b3b_3 \cdots
s2s^2 c1c_1 c2c_2 c3c_3 \cdots
s1s^1
s0s^{0}

b1=152102=0b2=182162=0b3=10202=0b_1 = -\dfrac{\begin{vmatrix} 1 & 5\\ 2 & 10 \end{vmatrix}}{2} = 0 \quad b_2 = -\dfrac{\begin{vmatrix} 1 & 8\\ 2& 16 \end{vmatrix}}{2} = 0 \quad b_3 = -\dfrac{\begin{vmatrix} 1 & 0\\ 2& 0 \end{vmatrix}}{2} = 0

  • 한 행의 모든 원소가 0인 경우, 보조식을 만든다.
  • 모든 원소가 0인 행 바로 윗행 차수를 최고차항으로하는 식을 만들고 미분하여 계수들을
  • 다음 행에 기입한다

A(s)=2s4+10s2+16 A(s) = 2s^4 + 10s^2 + 16

ddtA(s)=8s3+20s \dfrac{d}{dt}A(s) = 8s^3 + 20s

b1=8b2=20b3=0b_1 = 8 \quad b_2 = 20 \quad b_3 =0

c1=2108208=5c2=216808=16c3=20808=0c_1 = -\dfrac{\begin{vmatrix} 2 & 10\\ 8 & 20 \end{vmatrix}}{8} = 5 \quad c_2 = -\dfrac{\begin{vmatrix} 2 & 16\\ 8& 0 \end{vmatrix}}{8} = 16 \quad c_3 = -\dfrac{\begin{vmatrix} 2 & 0\\ 8& 0 \end{vmatrix}}{8} = 0

열 1 열 2 열 3
s5s^5 1 5 8 0
s4s^4 2 10 16 0
s3s^3 8 20 0 0
s2s^2 5 16 0 0
s1s^1 d1d_1 d2d_2
s0s^{0} e1e_1

d1=8205165=5.6d2=80505=0d_1 = -\dfrac{\begin{vmatrix} 8 & 20\\ 5 & 16 \end{vmatrix}}{5} = -5.6 \quad d_2 = -\dfrac{\begin{vmatrix} 8 & 0\\ 5& 0 \end{vmatrix}}{5} = 0

e1=5165.605.6=16e_1 = -\dfrac{\begin{vmatrix} 5 & 16\\ -5.6 & 0 \end{vmatrix}}{-5.6} = 16

  • 첫 번째 열의 부호가 두 번 바뀐다. 즉, 특성방정식의 근이 복소평면 우반부에 2개가 있다.

  • 위 식의 근은 [-2 , 0.405+1.632j, 0.405-1.632j, -0.405+1.632j, -0.405-1.632j]이므로 우반부에 두 개의 근이 있다.

첫 글입니다.
다음 글
댓글
댓글로 소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