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 3상 변압기 (Δ-Y 결선)의 1차측과 2차측의 전류 관계

Lecture • Views 1037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 year ago  
  • 3상 이상변압기
  • 3상 변압기
  • Δ-Y 결선

결선도

아래 그림에 ΔY\Delta -\mathrm{Y} 결선의 회로를 나타내었습니다. 1차측과 2차측의 평행하게 위치한 상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입니다. 위 첨자 '은 2차측을 의미합니다. n{n'}은 2차측의 중성점을 나타냅니다.

위의 회로에서 1차측과 2차측의 각 상의 전류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nn은 1차측 전압과 2차측 전압비를 의미합니다.

Ia=IabnIb=IbcnIc=Ican(1)\tag{1} \begin{align} \mathbf{I}_ {a'} &= {\dfrac{\mathbf{I}_ {ab}}{n}} \\[2ex] \mathbf{I}_ {b'} &= {\dfrac{\mathbf{I}_ {bc}}{n}} \\[2ex] \mathbf{I}_ {c'} &= {\dfrac{\mathbf{I}_ {ca}}{n}} \end{align}

1차측과 2차측간의 전류 관계

위의 식(1)(1)에서 나타낸 전류 관계는 1차측 선전류가 2차측 상전류에 결합되는 형태이므로 1차측 상전류와 2차측 상전류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1차측 상전류와 2차측 상전류의 관계를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위의 식(1)(1)에서 한 상의 1차측과 2차측 전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Ia=Iabn(2)\tag{2} \mathbf{I}_ {a'} = \frac{\mathbf{I}_ {a b}}{ n}

1차측 Δ\Delta 결선의 aa상에 KCL을 적용하면 상전류와 선전류 사이의 다음과 같은 관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Ia=IabIca(3)\tag{3} \begin{equation} \mathbf{I}_ {a}= \mathbf{I}_ {a b}- \mathbf{I}_ {c a} \end{equation}

(1)(1)에서 Iab\mathbf{I}_ {a b}는 다음과 같습니다.

Iab=nIa(4)\tag{4} \begin{equation} \mathbf{I}_ {a b}= n \, \mathbf{I}_ {a'} \end{equation}

(1)(1)로부터 Ica\mathbf{I}_ {c a}는 다음과 같습니다

Ica=nIc(5)\tag{5} \begin{equation} \mathbf{I}_ {c a}= n \, \mathbf{I}_ {c'} \end{equation}

(4)(4)와 식(5)(5)를 식(3)(3)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Ia=IabIca=n(IaIc)(6)\tag{6} \begin{equation} \mathbf{I}_ {a}= \mathbf{I}_ {a b}- \mathbf{I}_ {c a}= n\left(\mathbf{I}_ {a'} - \mathbf{I}_ {c'} \right) \end{equation}

2차측 전류 Ia\mathbf{I}_ {a'}, Ib \mathbf{I}_ {b'} , Ic \mathbf{I}_ {c'} IaIc\mathbf{I}_ {a'} - \mathbf{I}_ {c'} 의 페이서도를 아래 그림에 나타내었습니다.

페이서도에서 알 수 있듯이 2차측 전류 IaIc\mathbf{I}_ {a'} - \mathbf{I}_ {c'} Ia\mathbf{I}_ {a}' 에 비해 크기가 3\sqrt{3}배가 되고, 위상은 3030^\circ, 즉, π/6[rad]\pi / 6 [\mathrm{rad}] 만큼 뒤지게 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aIc=3ejπ6Ia(7)\tag{7} \begin{equation} \mathbf{I}_ {a'} - \mathbf{I}_ {c'} =\sqrt{3}\,e^{-j\frac{\pi}{6}}\mathbf{I}_ {a'} \end{equation}

(7)(7)을 식(6)(6)에 적용하면 다음 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Ia=3nejπ6Ia(8)\tag{8} \begin{equation} \mathbf{I}_ {a}=\sqrt{3}\,n\, e^{-j\frac{\pi}{6}}\mathbf{I}_ {a'} \end{equation}

앞에서 복소수 K\mathbf{K}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이를 복소 전압 이득이라고 한 바 있습니다.

K=3nejπ6(9)\tag{9} \begin{equation} \mathbf{K} =\sqrt{3}\,n\,e^{j\frac{\pi}{6}} \end{equation}

(9)(9)의 공액 복소수를 복소 전류 이득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K=3nejπ6(10)\tag{10} \color{red} \begin{equation} \mathbf{K}^* =\sqrt{3}\,n\,e^{-j\frac{\pi}{6}} \end{equation}

(10)(10)을 식(8)(8)에 적용하면 식(8)(8)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Ia=KIa(11)\tag{11} \begin{equation} \mathbf{I}_ {a}= \mathbf{K}^* \mathbf{I}_ {a'} \end{equation}

따라서 다음과 같이 최종적인 관계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Ia=IaK(12)\tag{12} \begin{equation} \mathbf{I}_ {a'} =\dfrac{\mathbf{I}_ {a}}{\mathbf{K}^*} \end{equation}

나머지 상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Ib=IbKIc=IcK(13)\tag{13} \begin{align} \mathbf{I}_ {b'} &=\dfrac{\mathbf{I}_ {b}}{\mathbf{K}^*} \\[2ex] \mathbf{I}_ {c'} &=\dfrac{\mathbf{I}_ {c}}{\mathbf{K}^*} \end{align}

따라서 전체 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Ia=IaKIb=IbKIc=IcK(14)\tag{14} \color{red} \begin{align} \mathbf{I}_ {a'} &=\dfrac{\mathbf{I}_ {a}}{\mathbf{K}^*} \\[2ex] \mathbf{I}_ {b'} &=\dfrac{\mathbf{I}_ {b}}{\mathbf{K}^*} \\[2ex] \mathbf{I}_ {c'} &=\dfrac{\mathbf{I}_ {c}}{\mathbf{K}^*} \end{align}

위의 결과를 페이서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previous article
next article
Comments
Feel free to ask a question, answer or comment,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