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 복소수의 연산

Lecture • Views 1686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 year ago  
  • 수학적 기초
  • 복소수

두 복소수의 곱

실수의 경우 두 지수의 곱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합니다.

eaeb=ea+b  ,1ea=eae^{a}e^{b}= e^{a+b}\;,\quad \dfrac{1}{e^{a}}= e^{-a}

이를 복소수의 경우로 확장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복소수가 있다고 하면,

z1=z1ejϕ1  ,  z2=z2ejϕ2z_{1}=\left | z_{1}\right | e^{j\phi_{1}} \;,\; z_{2}=\left | z_{2}\right | e^{j\phi_{2}}

두 복소수의 곱은 다음 관계를 만족합니다.

z1z2=z1z2ej(ϕ1+ϕ2)  ,z1z2=z1z2ej(ϕ1ϕ2)z_{1}z_{2}=\left | z_{1}\right |\left | z_{2}\right | e^{j(\phi_{1}+\phi_{2})} \; , \quad {\dfrac{z_1}{z_{2}}}=\dfrac{\left | z_{1}\right |}{\left | z_{2}\right |}e^{j(\phi_{1}-\phi_{2})}

복소수와 공액복소수의 합

복소수 z=x+jyz= x + j y 가 있을 때, 이 복소수의 공액 복소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z=xjyz^{*}= x - j y

자기 자신과 공액 복소수와의 합은 다음과 같이 구해집니다.

z+z=(x+jy)+(xjy)=2x=2Re(z) z + z^{*} = (x+jy)+(x-jy)= 2 x = 2 \mathrm{Re}(z)

같은 방법으로 자기 자신과 공액 복소수와의 차는 다음과 같이 구해집니다.

zz=(x+jy)(xjy)=2jy=2jIm(z)z - z^{*} =(x+jy)-(x-jy)= 2jy = 2 j\mathrm{Im}(z)

복소수와 공액복소수의 곱

자신의 공액과의 곱은 실수가 되고, 자신의 크기의 제곱이 됩니다.

zz=zejϕzejϕ=z2z z^{*}= | z | e^{j\phi}| z | e^{- j\phi}= | z |^{2}

복소수의 회전

다음과 같은 복소수 zz가 있다고 하면,

z=zejϕz = | z | e^{j\phi}

이 복소수 zz에 복소수 ejθe^{j\theta}를 곱하면 복소수 zz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θ[rad]\theta [\mathrm{rad}] 만큼 회전이동 한 것이 됩니다. 이는 다음 식으로 알 수 있습니다.

zejθ=zejϕejθ=zej(ϕ+θ)z e^{j\theta}= | z | e^{j\phi}e^{j\theta}= | z | e^{j(\phi +\theta)}

이를 복소 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특별한 경우로서 θ=π2\theta =\frac{\pi}{2}인 경우 ejπ2e^{j\frac{\pi}{2}}를 복소수 zz에 곱하면 복소수 zz를 반시계 방향으로 9090^{\circ}회전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왜냐 하면 ejπ2=je^{j\frac{\pi}{2}} = j 이므로

jz=zj=zejπ2=zejϕejπ2=zej(ϕ+π2)j z = z j = z e^{j\frac{\pi}{2}}= | z | e^{j\phi}e^{j\frac{\pi}{2}}= | z | e^{j(\phi +\frac{\pi}{2})}

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evious article
last article
Comments
Feel free to ask a question, answer or comment,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