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 전동기의 기동에서 Y - Δ기동은 대략 몇 [kW] 범위의 전동기에서 이용되는가?
농형 유도 전동기의 기동에 있어 다음 중 옳지 않은 방법은?
유도 전동기의 1차 접속을Δ에서 Y로 바꾸면 기동시의 1차 전류는?
유도 전동기의 기동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권선의 접속을 원심력 개폐기에 의해서 직렬 또는 병렬로 바꾸어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유도 전동기에서 게르게스 현상이 생기는 슬립은 대략 얼마인가?
크로우링 현상은 다음의 어느 것에서 일어나는가?
소형 유도 전동기의 슬롯을 사고로 하는 이유는?
9차 고조파에 의한 기자력의 회전 방향 및 속도는 기본파 회전 자계와 비교할 때 다음중 적당한 것은?
교류 전동기에서 기본파 회전 자계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간 고조파 회전 자계의 고조파 차수 h를 구하면? 단, m은 상수, n은 정의 정수이다.
유도 전동기를 기동하기 위하여 Δ를 Y로 전환했을 때 토크는 몇 배가 되는가?
3상 유도 전동기가 경부하로 운전 중 1선의 퓨즈가 끊어지면 어떻게 되는가?
어느 3상 유도 전동기의 전 전압 기동 토크는 전부하시의 1.8배이다. 전 전압의 2/3으로 기동할 때 기동 토크는 전부하시의 몇 배인가?
10[HP], 4극 60[Hz] 3상 유도 전동기의 전 전압 기동 토크가 전부하 토크의 1/3일 때, 탭 전압이 1/√3인 기동 보상기로 기동하면 그 기동 토크는 전부하 토크의 볓 배가 되겠는가?
전압 440[V]에서의 기동 토크가 전부하 토크의 212[%]인 3상 유도 전동기가 있다. 기동 토크가 100[%]되는 부하에 대해서는 기동 보상기로 전압[V]을 얼마 공급하면 되는가?
200[V], 7.5[kW], 6극 3상 농형 유도 전동기를 정격 전압으로 기동하면 기동 전류는 500[%]흐르고, 기동 토크는 220[%]이다. 기동 전류를 300[%]로 제한하려면 기동 토크[%]는?
220[V], 15[kW], 6극 3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 전류가 380[A], 기동 토크는 150[%]이다. 지금 이 전동기에 전 전압 50[%]의 탭을 가진 기동 보상기를 사용하면 이 기동 전류[A]와 이때의 기동 토크[%]는?
횡축에 속도 n을, 종축이 토크 T를 취하여 전동기 및 부하의 속도 토크 특성 곡선을 그릴 때 그 교점이 안정 운전점인 경우에 성립하는 관계식은? 단, 전동기의 발생 토크를 T_M, 부하의 반항 토크를 T_L이라 한다.
유도 전동기 기동 보상기의 탭 전압으로 보통 사용되지않는 전압은 정격 전압의 몇 [%] 정도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