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출력 전력

강의노트 • 조회수 679 • 댓글 0 • 수정 2개월 전  
  • 출력
  • 동기기

공극전력은 전부 기계적 동력으로 변환되며, 철손과 회전자 동손은 회전하는 기계적 손실과 같은 특성을 가지며 일정한 상수로 취급된다.

동기 발전기의 유효 전력 출력과 무효 전력 출력은 식(1),(2)와 같다.

(1) Pout=3VsIacosϕP_{out} = 3 V_s I_a \cos \phi (2) Qout=3VsIasinϕQ_{out} = 3 V_s I_a \sin \phi

식(1)을 동기임피던스로 곱하고 나눠주면 식(3)과 같아진다. 또한, 위의 벡터도로부터 식(4)를 구할 수 있다.

(3) Pout=3VsIacosϕZsZsP_{out} = \dfrac{3 V_s I_a \cos \phi Z_s}{Z_s} (4) ZsIacosϕ=EasinδZ_s I_a \cos \phi = E_a \sin \delta

동기 발전기의 출력은 식(4)를 식(3)에 대입하면 식(5)와 같다.

Pout=3VsEaZssinδ(5)\tag{5} P_{out} = 3\dfrac{V_s E_a }{Z_s} \sin \delta

수식 유도

벡터도로부터 동기기 출력을 유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Pout=VsIacosϕP_{out} = V_sI_a \cos \phi

각도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sinα=RaZs \sin \alpha = \dfrac{R_a}{Z_s} α+β+ϕ=90β=90(α+ϕ) \alpha + \beta + \phi = 90^\circ \quad \Rightarrow \quad \beta = 90^\circ - ( \alpha + \phi )
(6) ADˉ=IaZssinβ=IaZscos(α+ϕ)=Easinδ\bar{AD}=I_a Z_s \cdot \sin \beta = I_a Z_s \cos (\alpha + \phi) = E_a \sin \delta (7) ODˉ=Vs+IaZscosβ=Vs+IaZssin(α+ϕ)=Eacosδ\bar{OD} = V_s + I_aZ_s \cos \beta = V_s + I_aZ_s \sin (\alpha +\phi) = E_a \cos \delta

식 (6) 양변에 cosα\cos \alpha를 곱하고 식(7) 양변에 sinα\sin \alpha 곱하면 식(8)이 얻어진다.

{cosαIaZscos(α+ϕ)=Easinδcosαsinα(Vs+IaZssin(α+ϕ))=Eacosδsinα(8)\tag{8} \begin{cases} \cos \alpha \cdot I_aZ_s \cos (\alpha + \phi ) = E_a \sin \delta \cdot \cos \alpha \\ \sin \alpha ( V_s + I_aZ_s \sin (\alpha +\phi) ) = E_a \cos \delta \cdot \sin \alpha \end{cases}

식(8)을 더하면 식(9)의 결과를 얻는다.

IaZs[cos(α+ϕ)cosα+sin(α+ϕ)sinα]=Ea(sinδcosα+cosδsinα)Vssinα(9)\tag{9} I_aZ_s [ \cos (\alpha +\phi) \cos \alpha + \sin (\alpha +\phi) \sin \alpha ] \\= E_a ( \sin \delta \cos \alpha + \cos \delta \sin \alpha ) - V_s \sin \alpha

식(9)를 정리하면 식(10)과 같아진다.

IaZscos(α+ϕα)=Easin(δ+α)Vssinα(10)\tag{10} I_aZ_s \cos (\alpha +\phi - \alpha) = E_a \sin (\delta + \alpha) - V_s \sin \alpha

식(10)에서 전류를 구하면 식(11)이 된다.

Ia=Easin(δ+α)VssinαZscosϕ(11)\tag{11} I_a = \dfrac{ E_a \sin (\delta + \alpha) - V_s \sin \alpha }{Z_s \cos \phi}

식(11)을 식(1)에 대입하면 식(12)가 된다.

P=VscosϕEasin(δ+α)VssinαZscosϕ=EaVsZssin(δ+α)Vs2Zssinα(12)\tag{12} \begin{aligned} P &= V_s \cos \phi \cdot \dfrac{ E_a \sin (\delta + \alpha) - V_s \sin \alpha}{Z_s \cos \phi} \\ &= \dfrac{E_aV_s}{Z_s}\sin (\delta + \alpha) - \dfrac{V_s^2}{Z_s}\sin \alpha \end{aligned}

식(12)는 동기기의 출력전력식이 된다. 만약 저항이 리액턴스에 비해 무한히 작다면 출력 전력은 식(5)와 같은 형태로 표현된다.

raxaα0sinα=0 r_a \ll x_a \quad \Rightarrow \quad \alpha \to 0 \quad \Rightarrow \quad \sin \alpha = 0

Pout=EaVsZssinδ(13)\tag{13} P_{out} = \dfrac{E_aV_s}{Z_s} \sin \delta

발전기가 공급하는 무효전력은 단자전압과 내부 유기기전력의 관계로 구할 수 있다.

Eacosδ=VsE_a \cos \delta = V_s이면 Q=0Q=0인 역률이 1인 상태가 되고

Eacosδ>VsE_a \cos \delta > V_s이면 발전기가 지상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상태(Q>0Q > 0),

Eacosδ<VsE_a \cos \delta < V_s이면 발전기가 진상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상태(Q<0Q < 0) 가 된다.

비돌극기 출력

비돌극기 동기기의 출력은 식(14)와 같다.

P=3EaVsXssinδ(14)\tag{14} P = 3\dfrac{E_aV_s}{X_s} \sin \delta

식(14)에서 최대출력은 δ=90\delta = 90^{\circ}에서 발생하고 이를 정태 안정도 한계라 한다.

실제 동기 발전기의 부하각은 1520 15^{\circ} \sim 20^{\circ} 에서 운전한다. 유도되는 토오크는 식(15)와 같다.

τind=3Pωs=3EaVsωXssinδ(15)\tag{15} \tau_{ind} = 3\dfrac{P}{\omega_s}=3\dfrac{E_aV_s}{\omega X_s}\sin \delta

돌극기 출력

돌극기 인 동기기의 출력은 식(16)과 같다.

P=3EaVsXssinδ+Vs2(XdXq)2XdXqsin(2δ)(16)\tag{16} P = 3\dfrac{E_aV_s}{X_s} \sin \delta + \dfrac{V_s^2(X_d - X_q )}{2X_d X_q}\sin (2\delta)

여기서, XdX_d는 직축 리액턴스이고 XqX_q는 종축리액턴스이다.

최대출력은 부하각이 δ60\delta \fallingdotseq 60^{\circ}에서 발생한다.

첫 글입니다.
다음 글
댓글
댓글로 소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