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복소수의 곱
실수의 경우 두 지수의 곱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합니다.
eaeb=ea+b,ea1=e−a
이를 복소수의 경우로 확장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복소수가 있다고 하면,
z1=∣z1∣ejϕ1,z2=∣z2∣ejϕ2
두 복소수의 곱은 다음 관계를 만족합니다.
z1z2=∣z1∣∣z2∣ej(ϕ1+ϕ2),z2z1=∣z2∣∣z1∣ej(ϕ1−ϕ2)
복소수와 공액복소수의 합
복소수 z=x+jy 가 있을 때, 이 복소수의 공액 복소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z∗=x−jy
자기 자신과 공액 복소수와의 합은 다음과 같이 구해집니다.
z+z∗=(x+jy)+(x−jy)=2x=2Re(z)
같은 방법으로 자기 자신과 공액 복소수와의 차는 다음과 같이 구해집니다.
z−z∗=(x+jy)−(x−jy)=2jy=2jIm(z)
복소수와 공액복소수의 곱
자신의 공액과의 곱은 실수가 되고, 자신의 크기의 제곱이 됩니다.
zz∗=∣z∣ejϕ∣z∣e−jϕ=∣z∣2
복소수의 회전
다음과 같은 복소수 z가 있다고 하면,
z=∣z∣ejϕ
이 복소수 z에 복소수 ejθ를 곱하면 복소수 z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θ[rad] 만큼 회전이동 한 것이 됩니다. 이는 다음 식으로 알 수 있습니다.
zejθ=∣z∣ejϕejθ=∣z∣ej(ϕ+θ)
이를 복소 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특별한 경우로서 θ=2π인 경우 ej2π를 복소수 z에 곱하면 복소수 z를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왜냐 하면 ej2π=j 이므로
jz=zj=zej2π=∣z∣ejϕej2π=∣z∣ej(ϕ+2π)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로그인 하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