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 유기기전력
Lecture
• Views 1041
• Comments 0
• Created at 2 years ago
• Last Updated at 6 months ago
- 유도기전력
변수명
변수 | 설명 | 변수 | 설명 | |
---|---|---|---|---|
1상의 권수 | 전기자 지름 | |||
회전속도[rpm] | 주파수 [Hz] | |||
코일 변이 자속을 절단하는 부분의 길이[m] | 도체 속도 | |||
극수 | 극당 총자속 | |||
x지점의 자속밀도 | 평균 자속밀도 | |||
최대 자속밀도 | 유기기전력 최대값 | |||
유기기전력의 RMS값 | 단자 전압 |
유기기전력
위 그림에서 자속밀도는 식(1)과 같이 정현파 특성을 가진다.
자속밀도의 평균값은 식(2)와 같다.
주파수와 속도의 관계는 식(3)과 같다.
도체의 속도는 식(4)와 같다.
극당 총 자속은 식(5)와 같다.
한 지점의 자속밀도는 (6)과 같이 표현된다.
자기장에서 움직이는 도체에 유도되는 기전력은 플레밍의 법칙을 적용하면 식(7)와 같다.
식(7)에서 유도되는 기전력의 최대값은 식(8)과 같다.
(8)에서 유도되는 기전력은 정형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식(8)을 rms값으로 표시하면 식(9)와 같다.
고정자 권선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발전기의 무부하 전압이다.
동기기의 회전자(계자)를 회전시키면 고정자의 3상 권선에 3상 교류기전력이 유기된다.
진상부하에서는 , 지상에서는 가된다.
first article
next article
Login to writ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