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줄의 출구선이 나와 있는 분상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가 있다. 이 전동기를 그림과 같이 결선했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어느 결선이 옳은가?
저항 분상 기동형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 권선의 저항 R 및 리액턴스 X을 주권선에 대한 대소 관계는?
브러시를 이동하여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전동기는?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 방법 중 가장 기동 토크가 작은 것은 어느 것인가?
단상 유도 전동기를 기동 장치의 종류에 의해 불류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그중 다음 도면의 곡선과 같은 큰 기동 토크 특성을 가지는 것은?
권선형 유도 전동기와 직류 분권 전동기와의 유사한 점 두 가지는?
3상 서브 모터에 평형 2상 전압을 가하여 동작시킬 때의 속도-토크 특성 곡선에 최대 토크가 발생하는 슬립s는?
다음중 서보 모터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2중 농형 전동기가 보통 농형 전동기에 비해서 다른 점은?
2중 농형 전동기의 슬립 s에 대한 부하 전류 I, 토크 T의 곡선은?
2중 농형 유도 전동기에서 외측(회전자 표면에 가까운 쪽) 슬롯에 사용되는 전선으로 적당한 것은?
유도 발전기의 장점을 열거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비동기 발전기의 이점이 아닌 것은?
3상 유도 전압 조정기에서 1차 1상에 가해지는 전압을 V_1[V], 권수비를 a라 하면 전압의 조정범위는?
정격 2차 전류 I_2, 조정 전압 E_2일 때 3상 유도 전압 조정기 출력[kVA]은?
3상 유도 전압 조정기의 동작 원리는?
분로 권선 및 직렬 권선 1상에 유도되는 기전력을 각각 E_1, E_2[V]라 할 때 회전자를 0°에서 180°까지 돌릴 때 3상 유도 전압 조정기 출력측 선간 전압의 조정 범위는?
3상 전압 조정기의 원리는 어느 것을 응용한 것인가?
선로 용량 6600[kVA]의 회로에 사용하는 6600±660[V]의 3상 유도 전압 조정기의 정격용량[kVA]은 얼마인가?
220±100[V], 5[kVA]의 3상 유도 전압 조정기의 정격2차 전류는 몇[A]인가?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의 1차 전압 100[V], 2차 100 ±30[V], 2차 전류는 50[A]이다. 이 조정 정격은 몇 [kVA]인가?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축 사이 각도를α라 하고, 양 권선의 축이 일치할 때 2차 권선의 유기 전압을 E_2, 전원 전압을 V_1, 부하측의 전압을 V_2라고 한면 임의의 각 α일 때 V_2를 나타내는 식은?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에서 1차 전원 전압을 V_1이라 하고 2차의 유도 전압을 E_2라고 할 때 부하 단자 전압을 연속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조정 범위는?
200±200[V], 자기 용량 3[kVA]인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가 있다. 최대 출력[kVA]은?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에 부하를 걸었을 때 , 발생하는 토크 방향은?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에서 단락 권선의 직접적인 역할은?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와 3상 유도 전압 조정기의 비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도 전압 조정기와 관련이 없는 것은? 단, 유도 전압 조정기는 단상, 3상 모두를 말한다.
1차 전압과 2차 전압간의 위상이 같도록 설계된 유도 전압 조정기는?